강아지 무 특징
이제 슬슬 날이 추워지면서 월동무가 맛있어지는 시기가 왔습니다. 월동무는 뿌리가 단단하고 매운맛이 덜해 생으로 먹어도 달고 맛이 좋습니다. 따뜻한 남쪽 지방과 제주도에서 주로 생산되며 일반 무에 비해 추위에 강해 바람이 잘 들지 않고 아삭합니다. 무에는 비타민C의 함량이 풍부해서 겨울철 감기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무에 함유된 아밀라아제와 디아스타아제는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하는 성분을 갖고 있습니다. 무는 수분 함량이 높고 열량은 낮고, 포만감은 커서 다이어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무에 들어 있는 글루코시놀레이트 성분은 독성을 제거해주고 식중독 예방과 항암 효과가 있습니다. 무를 고를 때는 하얗게 윤기가 있고 단단한 것, 매끈하고 상처가 없는 것이 싱싱한 무입니다. 바람이 든 무는 당분이 떨어지고 식감이 퍼석거려 맛이 없기 때문에 줄기를 잘랐을 때 단면이 파랗게 생기가 있고 수분감이 보이면 바람이 들지 않은 좋은 무입니다. 무를 오랫동안 저장하기 위해서는 잎은 잘라내고 흙이 묻은 상태로 랩으로 감싸서 냉장 보관합니다. 그럼 몸에 좋은 무가 강아지에 어떤 효능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 무 효능
강아지에게 무를 소량 먹여도 괜찮습니다. 무에는 식이섬유, 비타민C, 엽산, 칼슘 등 많은 영양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강아지에게 이로운 음식입니다.
첫 번째는, 무에는 아밀라아제라고 불리는 디아스타아제라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이 성분은 소화기관이 약한 강아지의 소화를 돕고 위를 건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리 강아지가 소화기관이 약하다면 무를 익혀서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단, 많이 먹게 되면 설사를 할 수 있으니 반드시 알레르기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줘야 합니다.
두 번째는, 무의 알싸한 맛을 내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이 성분은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데 효과가 있어서 당뇨병이 있는 강아지에게 도움이 됩니다. 또한 콜레스테롤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혈액을 건강하게 해줍니다.
세 번째는, 무에 들어 있는 글루코시놀레이트 성분입니다. 이 성분은 체내의 독성 물질을 제거 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항암 효과도 있어서 강아지에 좋은 식품입니다.
네 번째는, 무에는 비타민C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체내의 피로물질을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데 효과 있습니다.
다섯 번째는, 과체중인 강아지의 체중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무는 100g당 13kcal로 열량이 낮고 포만감은 커서 강아지가 다이어트를 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강아지 몸에 위와 같이 좋은 효능이 많이 있습니다. 몸에 좋은 것도 어떻게 급여하느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잘 숙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강아지에 무를 어떻게 급여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 무 급여 방법 및 주의사항
강아지에게 생무와 익힌 무 모두 급여해도 됩니다. 단, 노령견인 경우에는 이빨이 약해서 생무를 씹기 힘들기 때문에 익혀서 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생무는 소화력이 약한 강아지가 먹게 되면 배탈이 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익혀서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생무를 줄 때는 무를 물에 30분 정도 담갔다가 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를 익혀서 줄 때 기름에 볶아서 주게 되면 췌장염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맹물에 익혀서 주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가 갑상샘 기능이 저하되고 있다면 되도록 무를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무에 들어 있는 고이틀린이란 물질이 갑상샘 호르몬의 합성을 저해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소량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래도 위험할 수 있느니 되도록 주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무에는 칼륨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신장질환이 있는 강아지는 동물병원에 문의한 후에 급여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를 너무 많이 급여할 경우 설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사료량의 10% 미만으로 소량만 급여해야 합니다. 무를 먹고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소량만 먹여보고 상태를 지켜본 후에 추가 급여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신부전 증상 및 예방법 (0) | 2022.10.18 |
---|---|
강아지 치매 증상과 치매 예방법 (0) | 2022.10.18 |
강아지 위급 상황 발생하는 경우 대처하는 방법 (0) | 2022.10.17 |
강아지 늙은 호박 특징과 효능 및 급여 방법 (0) | 2022.10.14 |
강아지 사과대추 특징과 효능 및 급여방법 (0)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