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개 특징
북한의 개마고원에 위치한 함경남도 풍산군 일대에서 길러지던 고유의 토종개이며, 고산지대에 적응하며 긴 세월을 거주민과 함께한 경비견 및 큰 짐승이나 맹수를 사냥하기 위한 사냥개입니다.
북한의 천연기념물 368호이자 국견으로 원서식지는 북한의 함경남도 풍산군입니다. 2000년 6월 남북 정상회담 당시 북한 지도자 김정일이 남한의 김대중 대통령에게 '우리'와 '두리'라고 이름 붙여진 한 쌍을 선물로 보내 남한에 유입되었습니다. 2018년 9월 20일 평양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풍산개 한 쌍인 '송강', '곰이'를 선물하였습니다.
풍산개의 원종은 개와 승냥이(늑대) 사이에서 교잡된 것이며, 북한 개마고원 일대를 주 무대로 맹수 사냥용으로 사육되던 전형적인 수렵견입니다. 풍산개는 다른 외국 개 품종에 비해 개과 야생종인 늑대, 코요테 등의 유전자형을 많이 가고 있기 때문에 훨씬 야생성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풍산개의 크기는 수컷 55~58cm, 암컷 50~58cm. 체중은 23~30kg의 중형 정도의 개로 진돗개보다는 몸집이 큽니다. 털은 희며 눈과 코, 발톱만이 검고 전체적으로 흰 바탕에 검은색, 회색, 황색이 섞여 시베리아 늑대와 유사한 모습입니다. 주둥이는 투박하고 얼굴은 크고 넓으며, 뛰어난 청력과 날카로운 이빨, 강인한 체구에 뒷다리가 곧고 탄탄하여 경사지나 산악 지대를 잘 달립니다. 풍산개는 원래 개마고원을 중심으로 맹수를 사냥하던 개로 최근까지 호랑이 사냥에 이용되었던 전형적인 한국형 수렵견이며 외형도 고산 지대에서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이 되었습니다.
털은 빽빽하고 짧은 이중모로 구성되며, 꼬리털은 몸통보다 길고 부드럽습니다. 귀는 삼각형 모양으로 서 있으며 귀 끝이 앞이나 옆을 향하고 있으며 꼬리는 엉덩이에 붙어 위로 바짝 올라가 감겨 있습니다. 기질이 드세고 힘이 강하며 식욕이 왕성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용맹하고 멋진 풍산개의 성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풍산개 성격
추위와 질병에 강하며 강인하고 영리하기 때문에 맹수 사냥에 적합한 풍산개는 성질은 온순하나 일단 적수와 맞서 싸울 때는 짖어대는 소리가 우렁차고 크며 사나워 당하는 짐승이 없다고 합니다. 러시아의 사냥꾼들이 호랑이, 곰 등의 사냥에 풍산개를 이용해 보고 그 용감성을 극구 찬양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충성심이 높아 주인을 잘 따르고 북쪽 산악 지역의 품종답게 추위를 잘 견뎌냅니다. 영하 30도의 추위에도 집 안에서 자지 않고 밖에서 집을 지킵니다. 그러나 더위에는 약한 편입니다.
오랜 세월을 방사해서 자랐고 무리를 지어 사냥하기 때문에 다른 개들과 잘 지내는 등 사회성이 뛰어납니다. 특히 풍산개는 사냥개로서 뛰어난 점은 전투력보다는 근성입니다. 사냥감이 더 이상 도주하지 못하게 견제하면서 마무리를 지어줄 사냥꾼이 오기를 기다리는 근성과 인내심이 뛰어납니다. 그래서 경비견과 사냥개로 키워질 만큼 영리하고 용맹하며 민첩합니다.
풍산개는 평소에 아주 얌전하며 자신보다 약한 개체는 함부로 공격하지 않습니다. 또 이유 없이 짖거나 싸우는 일이 없습니다. 결국 사냥할 때는 자신의 본능과 기질을 다해 집요하게 상대를 쓰러뜨리는 견종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무척 점잖고 주인에게 충성하는 견종입니다. 지금까지 풍산개의 성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부터는 풍산개를 키우면서 주의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풍산개 주의사항
활동량이 많기 때문에 규칙적인 산책이나 놀이를 해주어야 합니다. 하루에 기본 한 시간에서 두 시간 정도 산책을 해줘야 합니다. 단, 옛날부터 집 지키는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예민하고 공격적인 편이라서 산책 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약한 개체는 공격하지 않지만 돌발 상황에 대비해서 산책 시 줄을 짧게 잡고 산책하는 것이 좋습니다.
털이 이중모로 되어 있어서 털 빠짐이 심해서 빗질을 자주 해줘야 합니다. 특히 털갈이를 일 년에 두 번 정도 하기 때문에 그 시기에는 털 빠짐이 더욱더 심해집니다. 빗질을 자주 해서 죽은 털을 걸러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와와 특징 및 걸리기 쉬운 질병 (0) | 2022.09.27 |
---|---|
노령견 기준 및 영양 관리와 케어 방법 (0) | 2022.09.27 |
삽살개 특징과 성격 및 주의사항 (0) | 2022.09.26 |
요크셔테리어 특징 및 걸리기 쉬운 질병 (0) | 2022.09.25 |
비숑 프리제 특징 및 걸리기 쉬운 질병 (0) | 2022.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