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추 특징
시추는 티베트에서 유래했으나 중국 왕실에서 키워지면서 발전한 견종입니다. 중국에서는 ‘사자개(Shīzi Gǒu 스쯔거우)’라고 부르는데, 이 이름의 웨이드식 로마자 표기법인 shih-tzu kou에서 ‘시추’라는 이름이 전해졌습니다. 어깨높이 23~27cm, 몸무게 4~7.5kg이다. 길고 화려한 털이 특징으로 꼬리를 높이 세우고 당당하게 걷는 자태는 볼 만하다. 털이 이중모로 되어 있어 거의 빠지지 않으며, 다른 견종에 비해 냄새도 나지 않습니다. 색상은 주로 흰색과 갈색 또는 흰색과 검은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간이 흰색과 회색의 조합도 보입니다. 털이 콧등에서 위쪽으로 자라는 특징이 있어서 머리 부분에 국화꽃을 닮은 피모가 형성되며, 이 점이 가장 매력적인 요소로 여겨집니다.
시추 성격
성격이 사교적이고 친근하고 영리하여 가정견으로서 인기가 높습니다. 하지만 '식탐'이 좀 많은 편이며 가끔 고집을 부리기도 합니다. 감정이 풍부하고 표현도 잘해서 아이들과도 잘 어울리지만, 대체로 식탐과 고집이 있어 훈련 시 칭찬하며 훈련을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에, 자존심이 강한 편이므로 주인이 난폭해지거나 화를 내면 이에 대한 반응이 매우 빠릅니다. 성격은 모든 견종 중에서 가장 온순한 편입니다. 대중적인 견종 중에서 가장 공격성이 낮으며, 가장 덜 짖는 견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추는 모험하지 않고 두려움이 많아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절대로 위험한 것을 시도조차 하지 않는 성격이라고 보면 됩니다. 제 몸 편한 것을 무진장 좋아합니다. 산책하러 나가서 조금만 걸으면 멈춰서서 주인에게 안으라고 한다든지 산책 중 다리가 아프면 절대로 움직이려 하지 않습니다.
시추 걸리기 쉬운 질병
1. 외이염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흔한 질병입니다. 가려움 때문에 뒷발로 귀를 긁거나 귀를 땅에 비벼대기도 합니다. 가려움이 더욱 심해지거나 통증이 생기면 자주 머리를 흔들거나 고개를 기울인 채로 있기도 하니 동물병원에 가서 치료받아야 합니다. 정기적인 귀 청소는 필요하지만 면봉 등으로 너무 자주 하거나 깊이 넣으면 오염물질이 침입하여 오히려 귀에 상처를 입힐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신장염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와 독소 및 질병 등으로 콩팥에 염증이 일어납니다. 콩팥의 주기능인 오줌과 노폐물을 내보내고 영양물질을 재흡수하는 작용을 못 하게 되어 구토 및 설사하며 기력이 떨어집니다. 신장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분 섭취를 적절히 해야 합니다. 물이 부족해서 탈수가 생기면 신장을 통해 요독을 배출하지 못하고 몸에 쌓이게 됩니다.
3. 연구개 과장증
연구개는 목의 앞쪽에 있는 상악의 부드러운 부분으로 점막이 늘어져 공기의 통로를 압박하면서 호흡이 힘들어집니다. 퍼그, 불독, 시추 등의 단두종에게 발병하기 쉽습니다. 숨쉬기를 힘들어하고 야간에 코를 고는 것이 특징입니다. 간혹 연구개가 목을 완전히 막아서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시추 주의사항
시추는 고집이 황소고집이라 훈련이 매우 힘든 것으로 악명이 높습니다. 특별히 어려운 훈련도 아니고 가장 기초적인 배변 훈련조차 안 됩니다. 그리고 식분증도 있습니다. 시추가 식분증을 유독 많이 보이는 것은 이 겁많은 개가 끝까지 주인에 대한 경계심을 풀지 않고 있는 것도 한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견주들은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시추가 식분증을 보이거나 배변을 못 가리면 무조건 야단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문에 시추는 주인을 더 경계하게 되고 식분증과 배변 문제가 고쳐지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자존심이 강하고 애정을 갈구하는 동물인 시추는 자꾸 훈련을 시키며 자신을 혼내는 주인에게 자존심에 큰 상처를 받게 되고, 이 때문에 더욱 엇나가게 됩니다. 일반적인 개들은 주인의 반응이 마음에 안 들어도 일시적으로 짖고 으르렁거리며 반항한 후 풀리는 경우가 많지만 자존심이 강하면서 내성적이고 꽁한 성격의 시추는 주인에게 으르릉거리고 입질하는 등 직접적으로 반항하는 대신 주인이 원하는 행동을 의도적으로 지속해서 회피하는 것으로 대응합니다. 조금만 아파도 소리 지르는 다른 소형견들과 달리 아픈 내색을 하지 않는 편인데, 싫다는 표현은 물론 아픈 것도 참는 편이라 병원에 갔을 때는 병이 심각해져 있거나 방치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7살 이상의 시추를 기르고 있다면 6개월에 한 번씩 꼭 건강진단을 받으러 가야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돗개 특징 및 주의 사항 (0) | 2022.09.24 |
---|---|
강아지 췌장염 증상 및 걸렸을 때 좋은 음식 (0) | 2022.09.24 |
강아지 변비 원인과 걸렸을 때 좋은 음식 (0) | 2022.09.23 |
강아지 사계절 건강 관리 (0) | 2022.09.22 |
포메라니안 특징 및 걸리기 쉬운 질병 (0) | 2022.09.22 |
댓글